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OLECULAR CLONING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FACTOR FROM VENERUPIS PHILIPPINARUM (VpLITAF), AND ITS TRANSCRIPTIONAL RESPONSE FOLLOWING BACTERIAL CHALLENG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Lin-bao,SUN, Wei,NING, Xuan-xuan,CAI, Wen-gui,ZHANG, Zhe,CHEN, Hai-gang,MA, Sheng-wei,JIA, Xiao-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되는 종양 괴사 인자 α(Lipopolysaccharide 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factor, LITAF)는 중요한 전사 인자로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인자 TNF-α의 발현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발휘한다. 발현 서열 꼬리표(expressed sequence tags, ESTs)와 cDNA 말단 신속 증폭 기술(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을 결합하여 바지락(Venerupis philippinarum)으로부터 LITAF 유전자의 완전한 cDNA(VpLITAF)를 확보하였으며 또한 실시간 형광 정량 PCR 기술을 이용하여 VpLITAF의 조직 분포 및 비브리오 앵길라룸(V. anguillarum),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의 자극에 의한 시간적 발현 특성을 연구하였다. VpLITAF 유전자 서열에는 393bp의 개방해독틀이 함유되어 있었고 암호화된 아미노산은 130개였으며 예측 분자량은 14.39kD, 이론적 등전점은 7.47이었다. 서열 분석 결과, VpLITAF는 고도로 보존적인 LITAF 도메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기타 패류의 LITAF와 높은 상동성이 있었다. 또한 계통수 내에서 해양 연체 동물의 LITAF와 같은 패밀리의 멤버였다. VpLITAF 유전자는 주로 가재비의 간췌장에서 발현되었으므로 근육에서의 발현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비브리오 앵길라룸 및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자극은 일부 시간대에 따른 VpLITAF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뚜렷하게 유도할 수 있었으며, 그중 가장 높은 발현 수준은 대조군 발현량의 3.5배였다. 또한 VpLITAF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비브리오 앵길라룸의 유도 작용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유도 작용보다 훨씬 더 강하였다. 결론적으로, VpLITAF는 바지락의 선천성 면역 반응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016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Venerupis philippinarum,Lipopolysaccharide 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factor(LITAF),bacterial challenge,gene expression,바지락,지질다당류 유도 종양 괴사 인자 α,미생물 감염,유전자 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