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ranscriptome Analysis of Arabidopsis thaliana and Changes of Glucosinolates Metabolism Pathway Induced by Flg22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工程雜誌 = Journal of Chinese biotechnology
ISSN 1671-813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U, Xin-xin,GAO, Jin-jun,LI, Yong,LI, J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Flg22는 세균 편모 단백질(flagellum) N말단의 고도로 보존적인 영역이며 식물의 선천성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세균성 병원균의 침입에 대처하는 식물의 시스템적 반응을 전반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Illumina Hiseq2000을 이용하여 Flg22를 처리한 어린 애기장대 그리고 처리하지 않은 어린 애기장대의 전사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두 그룹 데이터를 통한 차등 발현 분석을 통해 1,200개의 차등 발현 유전자를 획득하였다. 이 중에는 290개 하향 조절 유전자와 910개 상향 조절 유전자가 포함된다. 차등 발현 유전자에 대한 GO 농축 분석 및 KEGG pathway 농축 분석 결과 Flg22 처리 애기장대는 에너지 대사, 아미노산 대사, 2차 대사산물의 생합성 등 측면에서 큰 변화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s)는 병원균을 방어하는 식물의 선천성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2차 대사산물이다. 이런 원인으로 글루코시놀레이트 대사경로의 변화를 심층 분석하였다. 서열분석 결과 Flg22 처리 인돌계 글루코시놀레이트(indolic glucosinolate) 합성경로의 유전자 발현 수준은 뚜렷이 향상되었지만 지방계 글루코시놀레이트 대사경로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인돌계 글루코시놀레이트 합성경로 핵심 효소 유전자에 대한 실시간 RT-PCR 분석을 통해 서열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검증하였고 인돌계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식물 항균 방어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병원균 유도 식물 방어 반응, 인돌계 글루코시놀레이트의 항균 메커니즘을 심층 이해하는데 대량의 참조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6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rabidopsis thaliana,flg22,High-throughput sequencing,Innate immune,Glucosinolates,애기장대,flg22,초고속 서열 분석,선천성 면역반응,글루코시놀레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