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기술의 사회적 함의 - 재생산 기술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보건과 사회과학 = Health and social science |
ISSN | 1229-1633,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8-01-01 |
초록 | 본 논문은 과학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생의학적 모델이 간과하고 있는 보건의료 지식과 기술의 사회적 함의를 논의하고 특히 여성의 재생산에 관련된 보건의료 기술이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기 위하여 이론적이고 분석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이론적으로는 과학적 의학의 한계를 비판하는 논의들을 사회문화적 관점과 정치경제적 관점, 그리고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분류하여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여성의 건강과 보건에 대한 각 관점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특히 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보건의료 지식의 발전과 이의 적용 과정에서 드러나는 남성주의적 특성을 비판함으로써 여성의 신체적, 생물학적 차이를 사회적 차별로 전환시키는 과학적 의학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생의학적 지식의 남성주의적 특성은 특히 여성의 재생산과 관련된 보건의료 지식과 기술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재생산 관련 기술로서 피임과 볼임치료 기술의 등장과 전개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비판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성차별적 보건의료 지식과 기술이 여성의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최첨단 재생산 보건 의료 기술로 간주되는 배아줄기 세포 연구와 적용 과정에서 우려되는 여성의 몸의 도구화와 상품화에 대한 가설을 기존의 조사 자료를 통해 검증해 보았다. 예상한 바와 같이 재생산 기술의 확산으로 인한 여성의 몸의 도구화와 상품화에 대한 우려는 성과 연령으로 나타난 가부장적 사회 구조의 특성 안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보건의료 지식의 성차별적 특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성인지의학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5682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여성과 건강,재생산 지식과 기술,배아줄기세포 연구,성인지의학,women and health,reproductive technology,stem cell research,gender specific medic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