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 우울증에서의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 신경생물학적 기전과 치료적 적용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대한정신약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
ISSN | 1017-5717, |
ISBN |
저자(한글) | 서호준,우영섭,박원명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7-01-01 |
초록 | 양극성 우울증은 치료가 어렵고 심한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우울증의 한 형태이다. 그 동안 양극성 장애에서 나타나는 조증삽화의 급작스럽고 인상적인 증상들로 인해 우울삽화의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지만 현재 많은 연구들을 통해 우울삽화가 조증삽화에 비해 더욱 빈번히 발생하며, 오래 지속되고 치료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양극성 우울증의 치료를 위한 방법들은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임상에서 적용하기에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안전성의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인정받고 있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여러 정신과적 질환에 사용되면서 양극성 장애를 포함한 기분장애의 치료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최근 양극성 우울증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효과를 입증하는 대규모 연구들의 결과가 보고되면서 치료적 대안이 부족한 양극성 우울증의 치료 방법 중 하나로 많은 임상의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양극성 우울증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에 대해 검토하고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작용기전 중 도파민과 세로토닌 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논해 보았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4687814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양극성 우울증,비정형 항정신병약물,도파민,세로토닌,Bipolar depression,Atypical antipsychotics,Dopamine,Seroton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