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콩이나 적포도주의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은 건강에 부정적이기보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콩류 섭취는 유방암이나 골다공증,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콩류, 특히 그 주성분인 genistein(GS)이 상기한 긍정적인 효과 외에도 여성의 생식계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계속되어왔다. 선행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은 사춘기 전에 genistein(GS)을 경구 투여했을 때 암컷 흰쥐의 생식계가 활성화되어 사춘기 개시가 조기에 유도되고, 암컷 성체에 GS를 뇌실내로 미세주입했을 때 kisspeptin-GnRH 뉴런회로 활성화가 일어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춘기 전 암컷 흰쥐에서의 시상하부 특이적인 GS 투여 효과와 이에 관여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아형( $ER{ alpha}$ 과 $ER{ beta}$ )을 조사하였다. 사춘기 전암컷 흰쥐(SD strain, PND 30)를 마취시킨 후 GS(3.4 ${ mu}g$ /animal)를 1회 뇌실내로 미세 주입하고, 2시간 후 희생시켰다. 시상하부내 생식조절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RNA를 추출한 후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chain reaction(RT-PCR)을 시행하였다. GS 투여는 KiSS-1 유전자 발현의 상위조절자인 mTOR(1: $0.361{ pm}0.058$ AU, p $1.285{ pm}0.099$ AU, p $1.458{ pm}0.078$ AU, p $1.29{ pm}0.08$ AU) mRNA 수준은 변화가 없었고, GnRH(1: $0.379{ pm}0.196$ AU, p $ER{ alpha}$ (1: $1.180{ pm}0.390$ AU) 발현은 대조군 대비 차이가 없었지만, $ER{ beta}$ (1: $4.209{ pm}0.796$ AU, p $ER{ beta}$ 경로가 관여함을 강력히 시사한다. 이는 잘 알려진 $ER{ beta}$ 경로를 매개로 하는 GS의 유방암 억제 효과와 일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