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dentification of the method of establishment of a DKO mouse model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and regeneration of dystrophin expression in vivo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實驗動物學報 = Acta laboratorium animalis scientia sinica
ISSN 1005-484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PANG, Rong-qing,LI, Zi-an,RUAN, Guang-ping,HE, Jie,WANG, Qiang,WANG, Jin-xiang,PAN, Xing-hua,ZHANG, Cheng,ZHANG, Yong-yun,ZHANG, Xiao-f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뒤시엔느형 근육 영양장애(Duchenne muscular dystrophy) 모델인 dko 쥐 검사 방법을 설립하고 줄기세포 이식 후 dystrophin의 재생 수준을 평가한다. 기법: SSP-PCR 방법을 사용하여 이형접합(heterozygous) 쥐를 교배하여 얻은 후대 쥐의 유전자형을 검사한다. 생화학분석기(biochemical analyzer)를 사용하여 dko 쥐 혈장 내 크레아틴키나아제(creatine kinase) 함량을 측정하고 HE 염색 후 근육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다. 인간 제대 중간엽 줄기세포(human umbilical cord mesenchymal stem cells)를 증폭한 다음 dko 쥐의 뒷 다리 근육에 주사한다. 2개월 후 면역형광염색법을 사용하여 dystrophin의 발현을 검사한다. 결과: 이형접합 쥐를 교배하여 3개 유전자형 후대를 얻을 수 있었다. 21.2%의 후대는 dko 쥐 유전자형으로 검증되었다(285bp). dko 쥐는 근육 영양장애 증상을 나타냈고 혈장 내 크레아틴키나아제 함량은 (16,988.52±617.48)IU/L에 도달하였다. 근육섬유 크기가 불균일하고, 핵이 중앙으로 이동한 세포가 많으며, 결합조직이 증생하거나 또는 염증성 세포가 침윤하는 현상은 뒤시엔느형 근육 영양장애의 전형적 병리 변화에 속한다. 인간 제대 중간엽 줄기세포를 dko 쥐 뒷 다리 근육에 주사하여 2개월 후 인간 dystrophin의 발현을 검출할 수 있었다. 결론: SSP-PCR 방법은 dko 쥐 유전자형 검사에 사용할 수 있었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DMD 치료 관련 연구에서 dko 쥐는 이상적인 동물 모델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0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uchenne muscular dystrophy,Animal model,Genotype identification,Stem cell therapy,DkO mice,뒤시엔느형 근육 영양장애,동물 모델,유전자형 검정,줄기세포 치료,Dko 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