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stribution pattern and maintenance of ectomycorrhizal fungus diversit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AO, Cheng,GUO, Liangd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외균근(ectomycorrhiza, ECM)은 토양 진균과 육생식물 근계로부터 형성된 일종의 상리공생체이다. ECM 진균은 숙주 식물 중으로부터 획득한 생장에 필요한 탄소원이며, 동시에 숙주를 촉진시켜 질소와 인 등의 광물 영양물질과 수분을 흡수하였다. 생태계의 중요한 조성부분으로서 ECM 진균은 생태계에서 천이와 다양성을 유지할 때 중요한 작용을 발휘한다. 따라서 ECM 진균 다양성의 분포 패턴과 유지 메커니즘의 게시는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기능 연구의 이슈 분야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ECM 진균 다양성의 최신 연구 진전에 대해 종합 분석을 하였다. 관련 연구 결과, 열대로부터 아열대와 온대삼림까지 각종 숙주식물에서 ECM 진균의 평균 종 개수는 점차 높아졌다. 확산과 선택 과정은 모두 ECM 진균의 분포 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확산이 ECM 진균 분포에 미치는 영향은 공간적 규모 의존성을 갖고 있는데, 즉 전 세계와 지역 규모(global and local scales)에서 확산이 ECM 진균 분포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약하고, 구역과 작은 규모(regional and small scales)에서는 매우 강하였다. 동시에 지역 규모에서 ECM 진균 분포에 대한 확산은 숙주식물 우점도 의존성을 갖고 있으며, 즉 숙주식물이 우점을 차지하지 않는 생태계에서 확산은 ECM 진균의 분포에 대하여 현저한 작용을 갖고 있었으나, 숙주식물이 우점을 차지하는 생태계에서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식물, 동물, 미생물과 비생물학적 요소의 선택 역시 모두 ECM 진균의 분포패턴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온대지역의 모든 연구는 ECM 진균의 분포에 대한 선택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열대지역에서 일부 연구는 ECM 진균의 분포에 대한 선택이 영향을 미쳤고, 일부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표명하였다. 식물의 다양성과 생산력은 모두 ECM 진균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온대, 아열대와 열대 삼림 중에서 숙주식물이 속한 다양성은 ECM 진균의 다양성을 결정하였고, 식물 생산력 다양성 가설은 일부 온대 연구에서만 실증을 얻었다. 미래 연구의 중점은 반드시 글로벌 규모에 관심을 두어야 하며, 특히 글로벌 기후변화 배경에서 ECM 진균 다양성의 분포패턴, 유지 메커니즘 및 그 생태계 기능 등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3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lection,dispersal,spatial scale dependence,host dominant dependence,plant diversity hypothesis,productivity diversity hypothesis,선택,확산,공간적 규모 의존성,숙주 우점도 의존성,식물 다양성 가설,생산력 다양성 가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