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ilia ectenes in Qingcaosha reservoi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IAN, Si-quan,GAO, Chun-xia,WANG, Shao-xiang,DAI, Xiao-jie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칭차오사 저수지(Qingcaosha reservoir)를 닫을(closed) 때는 저수지에 저장된 웅어(Coilia ectenes)와 칭차오사 저수지에 물이 유입될 때 창장강 하구(Yangtze estuary)를 거슬러 올라가는 웅어는 해당 저수지의 우점종으로서, 저수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1년 5월, 7월, 10월, 12월에 칭차오사 저수지에서 랜덤으로 수집한 웅어 샘플의 생물학적 특성을 연구하고, 전장(total length) 분포, 체중 분포, 전장과 체중 및 순중량(net weight)의 관계, 성비(sex ratio), 생식선 성숙도, 생식선 지수와 섭식 수준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암, 수 웅어의 평균 전장은 각각 25.0 cm, 23.4 cm였으며, 우점 전장(dominant total length)은 20~25 cm였다. 암, 수 웅어의 평균 체중은 각각 52.0 g, 41.0 g였으며, 우점 체중은 20~40 g였다. 웅어 전장 T L 과 체중 B W 및 순중량 D W 의 관계는 각각 W B = 0.0008 L T 3.3983 , W D = 0.0006 L T 3.4286 였다. 웅어 체중 B W 과 순중량 D W 의 선형 관계는 W D = 1.0598 W B -0.3425 였다. 암수 웅어의 생식선 중량은 전장, 체중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P lt;0.01), 생식선의 중량은 전장, 체중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암수 성비는 2.6:1였는데, chi; 2 검사를 진행한 결과 1:1 비율에 부합되지 않았다. 암수 웅어의 생식선은 주요하게 Ⅱ시기에 발육하였는데, 각각 암, 수 개체 총 수의 69.6%와 72.2%를 차지하였으며, 성 성숙된 개체는 비교적 적었다. 4월과 7월에 성 성숙된 개체는 비교적 많았으며, 10월과 12월에 성 성숙된 개체는 비교적 적었다. 암, 수 웅어의 생식선 지수는 일정한 차이가 있었는데, 암컷의 생식선 지수가 수컷에 비해 높았다. 성숙된 개체의 생식선 지수는 성숙되지 않은 개체에 비해 높았으며, 성숙되지 않은 개체의 생식선 지수는 어체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나, 성숙된 개체의 생식선 지수는 어체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웅어의 위(stomach)에는 새우가 가장 많았으며, 주요한 섭식 수준은 0~1급으로서 전체의 61.11%를 차지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801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Qingcaosha reservoir,Coilia ectenes,biological characteristics,칭차오사 저수지,웅어,생물학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