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JIAO, Cui-hua,WEI, Zhu-ying,WANG, Jin-ze,WU, Li-qiong,WU, Chen-chen,WU, Xia |
초록 |
쥐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s, MEFs)는 배아 줄기세포 배양의 배양보조세포층으로, 세포 계대수 등 요소의 제한을 받으므로 장기인 반복 제조를 필요로 하며 대량의 실험 동물을 소비한다. 쥐 배아 섬유아세포를 대체하여 줄기세포의 생장 번식을 지원할 수 있는 안정 세포주(stable cell line)를 찾아내는 것은 줄기세포의 배양 원가와 작업량을 줄이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L-Wnt3a세포는 세포 외에 Wnt3A단백질을 안정적으로 분비할 수 있는 불사화세포주(immortalized cell line)이나, 해당 세포주가 쥐 배아 줄기세포의 배양을 지원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보조세포층인 L-Wnt3a이 쥐(Mus musculus) 배아 줄기세포주의 구축에 미치는 영향 및 배양보조세포층이 없는 조건에서 해당 세포의 조건 배양액이 쥐 배아 줄기세포의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미토마이신 C(mitomycin C) 농도가 10 μg/mL, 작용시간이 4시간일 때, L-Wnt3a세포의 체외 생장은 뚜렷하게 억제되었으나 세포의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해당 세포를 이용하여 배양보조세포층을 제조하고 1세대를 분리한 후, 쥐 배아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쥐 배아 줄기세포주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L-Wnt3a세포로 조건 배양액을 제조하여 배아 줄기세포를 배양한 결과, L-Wnt3a 조건 배양액은 쥐 배양보조세포층이 없는 조건에서 배아 줄기세포의 자가증식을 지원하였다. 해당 조건에서 배양한 배아 줄기세포는 알칼리성 인산가수 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Oct4, Sox2, Nanog, E-cadherin(E-CAD)과 SSEA-1 다능성 인자를 발현하였으며, 체내, 체외에서 3개 배엽층으로 분화될 수 있고 키메라(chimera) 후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L-Wnt3a세포는 배양보조세포층으로서, 쥐 배아 줄기세포를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쥐 배아 섬유아세포가 배양보조세포층으로 이용될 때 존재하는 계대수 제한, 제조 복잡성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었다. 배양보조세포층이 없는 조건에서, L-Wnt3a 조건 배양액은 쥐 배아 줄기세포의 자가갱신을 유지시켰으며, 배양보조세포층이 배아 줄기세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