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L-Wnt3a Cells as Feeder Layers to Culture Mouse Embryonic Stem Cel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ISSN 1674-796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O, Cui-hua,WEI, Zhu-ying,WANG, Jin-ze,WU, Li-qiong,WU, Chen-chen,WU, Xi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쥐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s, MEFs)는 배아 줄기세포 배양의 배양보조세포층으로, 세포 계대수 등 요소의 제한을 받으므로 장기인 반복 제조를 필요로 하며 대량의 실험 동물을 소비한다. 쥐 배아 섬유아세포를 대체하여 줄기세포의 생장 번식을 지원할 수 있는 안정 세포주(stable cell line)를 찾아내는 것은 줄기세포의 배양 원가와 작업량을 줄이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L-Wnt3a세포는 세포 외에 Wnt3A단백질을 안정적으로 분비할 수 있는 불사화세포주(immortalized cell line)이나, 해당 세포주가 쥐 배아 줄기세포의 배양을 지원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보조세포층인 L-Wnt3a이 쥐(Mus musculus) 배아 줄기세포주의 구축에 미치는 영향 및 배양보조세포층이 없는 조건에서 해당 세포의 조건 배양액이 쥐 배아 줄기세포의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미토마이신 C(mitomycin C) 농도가 10 μg/mL, 작용시간이 4시간일 때, L-Wnt3a세포의 체외 생장은 뚜렷하게 억제되었으나 세포의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해당 세포를 이용하여 배양보조세포층을 제조하고 1세대를 분리한 후, 쥐 배아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쥐 배아 줄기세포주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L-Wnt3a세포로 조건 배양액을 제조하여 배아 줄기세포를 배양한 결과, L-Wnt3a 조건 배양액은 쥐 배양보조세포층이 없는 조건에서 배아 줄기세포의 자가증식을 지원하였다. 해당 조건에서 배양한 배아 줄기세포는 알칼리성 인산가수 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Oct4, Sox2, Nanog, E-cadherin(E-CAD)과 SSEA-1 다능성 인자를 발현하였으며, 체내, 체외에서 3개 배엽층으로 분화될 수 있고 키메라(chimera) 후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L-Wnt3a세포는 배양보조세포층으로서, 쥐 배아 줄기세포를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쥐 배아 섬유아세포가 배양보조세포층으로 이용될 때 존재하는 계대수 제한, 제조 복잡성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었다. 배양보조세포층이 없는 조건에서, L-Wnt3a 조건 배양액은 쥐 배아 줄기세포의 자가갱신을 유지시켰으며, 배양보조세포층이 배아 줄기세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3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Wnt3a cells,Mouse embryonic stem cells,Conditional medium,L-Wnt3a세포,쥐 배아 줄기세포,조건 배양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