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ONG, Bin,ZHANG, Tong-shu,HU, Zhi-feng,LEI, Cheng-ping,ZHANG, Ming-zhu,YANG, Zhe,ZHANG, Zhu-ting,BAI, Hong-yan,DONG, Hui,QIAN, Hai-tao |
초록 |
[목적] Wolbachia에 감염된 송충알벌(Trichogramma dendrolimi) 단성생식(parthenogenesis) 품종이 조명나방(corn borer)에 대한 방제 효과를 밝히기 위해서이다. [방법] 2012년과 2013년 연속 2년간, 중국 선양(Shenyang) 지역의 옥수수밭에 송충알벌 단성생식 품종과 양성생식 품종을 풀어 방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2012년 단성생식 품종이 1세대 조명나방 알에 대한 기생효과는 66.39%, 2세대 조명나방 알에 대한 기생효과는 69.53%이며, 대조군(송충알벌 양성생식 품종)과 비교했을 때 뚜렷한 차이(각각 56%, 79.73%)가 없었다(P≥0.05). 2013년 단성생식 품종이 1세대 조명나방 알에 대한 기생효과는 56.20%, 2세대 조명나방 알에 대한 기생효과는 82.10%이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뚜렷한 차이(각각 52.24%, 75.71%)가 없었다(P≥0.05). 수확하기 전기 결과, 2012년 단성생식 품종 및 대조군이 조명나방에 대한 방제효과는 각각 22.50%, 27.50%이고, 2013년에 각각 38.28%, 21.09%이며, 연속 2년간의 방제 효과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논밭 실험 결과로부터, 단성생식 송충알벌 품종은 양성생식 송충알벌 품종과 같은 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단성생식 품종은 개체군 증가속도, 규모화 배양 원가의 감소, 저밀도 개체군 조건에서 새로운 서식지에 진입하고 개체군을 구축하는 등 분야에서 일반 송충알벌 품종보다 우위적이었다. 따라서 단성생식 품종은 매우 양호한 생물학적 방제 응용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