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Fecundity of Individual Fish Pseudobagrus truncat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動物學雜誌 = Chinese journal of zoology
ISSN 0250-326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OU, Yuan-chao,YUE, Xing-jian,WANG, Yong-ming,TAN, Chuan-jie,QI, Ze-min,XIE, Bi-wen,WANG, 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2013년 4~5월, 중국 창장강(Yangtze River) 상류 민장강(Minjiang River) 하구 지역에서 63마리의 생식샘(gonad)이 Ⅳ단계까지 발육한 Pseudobagrus truncates 암컷 개체를 수집한 후 모든 샘플의 체장(body length, L), 체중(body weight, M), 순수 체중(net body weight, W)과 생식샘 무게(W a ) 등 생물학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이석(otolith)으로 연령을 검정하였고, 알의 직경(egg diameters)을 측정하였으며, 중량법으로 개체의 절대 생식력(individual absolute fecundity, F)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체장에 따른 상대 생식력(relative fecundity per centimeter, F L ), 체중에 따른 상대 생식력(relative fecundity per gram, F W )을 계산하였으며, 5종 수학적 모델 및 단계적 다중 회귀 방정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으로 개체의 생식력과 생물학적 지표 관계를 적합화(fitting)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한 샘플은 2 + ~5 + 연령 단계로 구성되었고, 개체 생식력(F)은 566~6,758알, 평균 3,056알이었으며, 체장에 따른 상대 생식력(F L )은 68~469알/cm, 평균 234알/cm이었고, 체중에 따른 상대 생식력(F W )은 45~349알/g, 평균 145알/g이었다. 개체의 절대 생식력(F)과 체장에 따른 상대 생식력(F L )은 체장(L), 체중(M), 성숙 지수(maturing coefficient, GSI)와 지수함수 관계였으며, 체중에 따른 상대 생식력(F W )은 오직 성숙 지수(GSI)와 지수함수 관계였고 기타 형태 지표와의 관련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단계적 다중 회귀 분석을 진행한 결과, 창장강 상류 Pseudobagrus truncates 개체의 절대 생식력(F)은 체중(M)과 성숙 지수(GSI)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서 관련 방정식은 F=16,370.714+3,284.028GSI+58.361M(n=63, R 2 = 0.973, P L )과 체중(M), 순수 체중(W), 성숙 지수(GSI)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서 관련성 방정식은 F L = 251.749+18.961M+684.273W+3,268.421GSI(n=63, R 2 = 0.852, P W )은 오직 성숙 지수(GSI)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서 관련성 방정식은 F W = 138.590+837.641GSI(n=63, R 2 = 0.539, P 알의 직경 빈도 분포(frequency distribution)에 근거하여 예측한 결과, Pseudobagrus truncates는 1차성 산란 어류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926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seudobagrus truncatus,Individual fecundity,Minjiang River,Pseudobagrus truncates,개체 생식력,민장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