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FANG, Zeng-bing,DAI, Xin-yu,ZOU, Xiu,GUO, Xiao-ge,XU, Shan-liang,WANG, Dan-li,ZHAO, Yun-long |
초록 |
RACE 기술을 사용하여 물벼룩(Daphnia pulex)으로부터 Chk1 유전자의 cDNA(전구간 길이 1,767 bp)를 복제하였다. 복제 서열에서 개방형 해독틀은 1,497 bp였고 498개 아미노산을 암호화하였다. 또한 서열 구조에 3개 보존적 Ser-Gln(SQ)와 Thr-Gln(TQ) 서열이 존재하였다.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물벼룩 Chk1 유전자와 Rhipicephalus pulchellus, Megachile rotundata, Metaseiulus occidentalis, Acyrthosiphon pisum, Drosophila melanogaster 등의 상동성은 모두 51%~55% 범위에 있었다. 계통 분석 결과, 물벼룩 Chk1 유전자와 Acyrthosiphon pisum, Megachile rotundata, Drosophila melanogaster, Rhipicephalus pulchellus, Metaseiulus occidenat 등 절지동물(arthropod)과의 유전적 유연관계는 가장 가까웠다. Real Time PCR 실험 결과, 암컷과 수컷 물벼룩에서 Chk1 mRNA의 발현량은 단성생식 물벼룩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고(P Chk1 유전자는 아마도 물벼룩(Daphnia pulex)의 생식 전환 조절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