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ervation on the gonadal development of the Siberian gudgeon migratory population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學雜志 = Journal of Biology |
ISSN | 2095-1736, |
ISBN |
저자(한글) | LI, Pei-lun,LIU, Wei,WANG, Ji-lo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조직절편 검사법을 활용하여 헤이룽장 강(Heilongjiang river) 푸위안(Fuyuan) 구간까지 회유한 Coregonus ussurinsis(C. ussurinsis)의 생식샘 발육 상황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C. ussurinsis 회유 집단은 생식 집단과 비생식 집단을 포함하였고 이 가운데 생식 집단은 약 78.01%였고 비생식 집단은 약 21.99%였다. 수컷 C. ussurinsis 비생식 집단의 정소 발육은 정원세포에서 정모세포로 분화하는 단계에 있었고 대량의 정모세포와 소량의 정원세포를 포함하고 있었다. 수컷 생식 집단의 정소 발육은 정자 형성 단계에 있었고 정소낭은 파열되었으며 대량의 정세포(spermatid)는 정자로 전환하고 있었으며 정소는 전형적인 소엽(lobular) 구조였다. 비생식 암컷 집단의 난소 내 난모세포 발육은 제2단계에 있었고 적은 양만이 제1단계와 제3단계에 있었다. 제3단계 난모세포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다층 유적(oil droplet)과 단층 여포세포(follicle cells)의 출현이다. 암컷 생식 집단의 난소 내 난모세포는 제4단계 후기와 제5단계에 있었고 영양물질 축적은 기본적으로 완료되었으며 부분적 난모세포는 이미 성숙되었다. C. ussurinsis의 성숙 난막(egg envelope)은 두개 층으로 구분되는데 바깥 층은 특수한 버섯 모양의 돌기 구조로서 두께는 약 7.8~13.9μm였고 내부 층은 방사대(zona radiate)로서 그 두께는 약 22.8~30.8μm였는데 이러한 난모막세포 구조는 기타 경골 어류와 구별되었다. 477마리 C. ussurinsis 샘플 중에서 암컷과 수컷의 비례는 1:0.95였고 이는 역사 자료와 별 차이가 없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08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iberian gudgeon,gonad,testis,ovary,egg envelope,Siberian gudgeon,생식샘,정소,난소,난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