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Tissue Specific Expression of SRF Gene from Pinctada martensii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基因組學與應用生物學 = Genomics and applied biology
ISSN 1674-568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IAN, Rong-rong,TIAN, Qun-li,DU, Xiao-dong,JIAO, Yu,HUANG, Rong-lian,WANG, Qing-heng,DENG, Yue-w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 혈청반응인자(Serum response factor, SRF)는 보존성이 높은 전사 인자이며, 세포 증식, 세포 사멸 및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진주조개(Pinctada martensii)에서 혈청반응인자의 생물학적 기능을 탐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RACE(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기술을 사용하여 진주조개 SRF 유전자(PmSRF) cDNA의 전체 길이 서열을 클론해냈으며, 실시간 형광 정량 PCR 기술을 사용하여 진주조개 다양한 조직에서의 PmSRF 유전자 발현을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PmSRF 유전자 서열의 전체 길이는 1,758 bp이었는데, 그중 개방형 해독틀(ORF)은 1,440 bp이고 479개의 아미노산을 부호화하였으며, 5' UTR은 65 bp, 3' UTR은 253 bp이고 29 bp의 polyA를 포함하였다. 또한, 상대 분자량이 50,534.6 Da이고 이론적 등전점이 7.71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중 서열 비교 결과를 통하여 종 사이에 SRF가 비교적 높은 보존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SMART 소프트웨어로 분석한 결과, PmSRF가 전형적인 MADS 구조 도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형광 정량 PCR 분석 결과, PmSRF 유전자는 진주조개의 폐각근(adductor muscle), 간췌장, 혈액세포, 외투막(mantle), 생식샘 및 아가미(gill) 등 6가지 조직에서 발현되었는데, 그중 아가미에서의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한층 더 조개류에서의 PmSRF 생물학적 기능을 탐구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 및 참고적 가치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4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inctada martensii,SRF,Gene cloning,Real-time PCR,진주조개,혈청반응인자,유전자 클로닝,형광 정량 PC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