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assay of esdC gene in Aspergillus chevolieri var. intermediu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菌物學報 = Mycosystema |
ISSN | 1672-6472, |
ISBN |
저자(한글) | LIU, Rong,TAN, Yu-mei,LIU, Yong-xiang,LIU, Zuo-y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아스페르질루스 셰발리에리 변이체 인테르메디우스(Aspergillus chevalieri var. intermedius) esdC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고 해당 유전자의 녹아웃 벡터를 구축하기 위해, 아그로 박테리움 매개의 형질전환과 선별을 통해 녹아웃 돌연변이체를 얻었다. 또한 돌연변이체의 형태를 초보적으로 분석하였다. 생물학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esdC 뮤톤(muton)의 자낭 구조가 야생형과 비슷했고 자낭 포자가 모두 구형 혹은 구형에 가까운 형태였으며, 무성 발육(Asexual developmental)도 야생형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MYA 배양기에서 14일 배양 후, esdC 돌연변이체 균락의 삼출액(exudate)이 야생형의 삼출액보다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주름이 없고 균락 표면이 건조했다. 이런 결과는 esdC 유전자의 결실이 포자 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뚜렷하지 않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는 아스페르질루스 셰발리에리 변이체 인테르메디우스의 유성 생식에 대한 제어 메커니즘 연구에 기반을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28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Aspergillus chevalieri var. intermedius,esdC gene,gene knockout,function assay,아스페르질루스 셰발리에리 변이체 인테르메디우스,esdC 유전자,유전자 녹아웃,기능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