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isphenol A에 의한 Sertoli 세포주 내 세포자연사 검정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발생과 생식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ISSN 1226-675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지향,김진규,도병록,이창주,윤용달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5-01-01
초록 본 연구는 Leydig 세포주와 Sertoli 세포주상에 bisphenol A(BPA)와 diethylstilbestrol(DES)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세포 종류에 따른 BPA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BPA의 농도별로 두 세포주에 처리하여 세포생존율을 비교하였다. Sertoli 세포주가 Leydig 세포주에 비해서 저농도의 BPA에서 생존율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Sertoli 세포가 Leydig 세포주에 비해 BPA에 더욱 민감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PA나 DES를 처리했을 때 세포 내 분화 및 사멸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phospholipase D(PLD)의 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역전사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세포막상의 세포자연사 신호전달자인 fas 와 fas ligand의 mRNA 발현을 확인해 본 결과, BPA의 처리에 의해 fas ligand의 발현이 다른 실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정리해 볼 때,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BPA는 Sertoli 세포 내 fas/fasL 신호전달계를 자극하여 PLD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서, Sertoli 세포 내 세포자연사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53451507534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isphenol A,Pholipase D,Fas signaling,Apoptosis,Sertoli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