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최근 여러 포유류 종에서 Kisspeptin이 그 수용체인 GPR54와 함께 GnRH 분비를 자극하여 성 성숙과 최종배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보고들은 KiSS-GPR54 system이 번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지만, 어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어류에서의 KiSS-GPR54 system의 생리적 기능과 번식내분비적 기능을 탐색하기 위해 홍바리 Epinephelus fasciatus 뇌에서 KiSS1, KiSS2, GPR54 mRNA의 부분 염기서열을 클로닝 하였으며, KiSS1, KiSS2, GPR54 mRNA의 각 조직별 발현을 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성 성숙과 KiSS-GPR54 system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생식소 발달 상태(성숙과 미성숙)에 따른 발현을 q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KiSS1, KiSS2, GPR54의 부분 염기서열은 각각 232 bp, 304 bp, 613 bp 였으며, 조직별 발현을 조사한 결과 공통적으로 뇌에서 발현되었다. 생식소발달에 따른 발현 양상은 KiSS1, KiSS2 mRNA의 경우 성숙 상태에서가 미성숙 상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하지만 GPR54 mRNA의 경우 미성숙 상태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KiSS-GPR54 system은 홍바리에 있어 번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