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ONG, Qian,WANG, Hui,KANG, Li,ZHAO, Xue-Dan,WEN, Jie-Feng,JIA, Mei-Ting,ZHANG, Xiu-Mei,TANG, Hui |
초록 |
멜라토닌(melatonin)은 송과선(pineal gland)과 망막(retina)에서 분비되는 하나의 내분비 호르몬으로서 광범위한 생물학적 기능이 있다. 본 논문은 멜라토닌 수용체 유전자(melatonin receptor gene, MTNR1A)가 서우광 닭(Shouguang chickens, Gallus gallus)의 계란 생산성(laying traits)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직접순서결정법(direct sequencing)으로 MTNR1A 유전자 5 rsquo; 조절지역 단일 뉴클레오티드의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을 검사하고, 또한 MTNR1A가 서우광 닭의 계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MTNR1A 유전자의 5 rsquo; 조절지역에는 8개의 SNPs 위치가 있었는데 그중에서 -34, -151와 -617 위치의 다형성 정보 함량(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값은 각각 0.13, 0.12와 0.05로서 낮은 수준의 다형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 -110, -126, -329와 -538 위치의 PIC값은 각각 0.37, 0.37, 0.37, 0.37와 0.36로서 중등 수준의 다형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00, -110, -126와 -329 위치는 서우광 닭의 초산란 일령(age at first egg)과 초기 20~25 주령(weeks of age) 단계의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였지만(P lt;0.01 혹은 0.05), -538위치는 오직 초산란 일령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P lt;0.05). 일배체형 분석(haplotype analysis) 결과, -100, -110와 -126 위치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또한 TTT, TTC과 GCT 등 3가지 종류의 일배체형과 6가지 종류의 이배체형(dipoltypes)이 구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배체형 GCT에 비하여 일배체형 TTC는 초산란 일령을 2.6일 앞당기고, 초기 산란수를 1.4개 증가시킨다. 종합적으로 서우광 닭의 MTNR1A 유전자 5 rsquo; 조절지역의 SNPs 위치는 다형성이 높고, 일배체형 TTC는 초산란 일령을 앞당기며 또한 산란수를 증가시킨다. 이는 MTNR1A는 잠재적인 이용가치가 있는 분자유전표지(molecular markers)로서 조숙성 서우광 닭의 사육을 위한 기술적 가치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