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phenanthrene, pyrene and benzo (a) pyrene individual exposure and coexposure with α-naphth of lavone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marine medaka(Oryzias melastigm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ISSN 0253-41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MU, Jingli,WANG, Xinhong,JIN, Fei,WANG, Juying,HONG, Hua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3~5환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가 해수 어류 배아 발생과정(embryonic development)에 미치는 독성 영향 및 그 작용 양식(mode of action)을 연구 논의하기 위하여 페난트렌(phenanthrene, Phe), 피레네(pyrene, Py), 벤조(a)피렌 이성체(benzo(a)pyrene, BaP)의 단일 노출 및 이 3요소가 각각 심방성 나트륨 이뇨 인자( alpha;-naphthoflavone, ANF)와의 결합 노출로 인해 자바송사리(marinemedaka,Oryziasmelastigma) 배아 발생 과정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비교 연구하였다. 배아 체내 EROD활성, 발달상의 기형(developmental deformity), 부화율 및 심장 율동(cardiac rhythm) 등 독성 지표가 측정되었고, 측정 결과, Phe, Py 및 BaP가 자바송사리 배아 체내 EROD활성의 유도 기능의 순서는 BaP gt;Py gt;Phe였으며, 각 화합물이 EROD활성 유도 및 발달상의 기형에 미치는 영향이 복잡하였으며, Phe가 일으킨 EROD활성의 유도 및 발달상의 기형 지수사이에 뚜렷한 상관성이 있었으며(r=0.95,p=0.015), Py 및 BaP은 모두 독성 지표와 상관성이 없었다. ANF가 100 mu;g/dm 3 일 때, CYP1A활성의 유도 기능이 억제되었으며, 반면에 배아 발생의 기형 지수는 뚜렷이 커졌으며 ANF가 개별적으로 Phe, Py 및 BaP와 결합한 노출이 배아 발생에 있어 잠재적 협동 효과가 있었다. 초보적인 연구 결과, 3~5환 PAHs 화합물이 자바송사리 배아 발생에 미치는 독성 작용 양식이 다양하였다. CYP1A 활성을 억제하는 PAHs 혼합물이 자바송사리 배아 발생 과정에 산생된 독성을 완화하지 못하였으며 CYP1A 억제제 및 PAH형 CYP1A 유도제의 혼합물이 어류 배아 발생에 대해 잠재적인 협동 독성 작용이 있었으며 현재의 PAHs 혼합물 독성 위험 평가 방법은 실제 환경 가운데 PAHs의 위험을 과소 평가할 수 있다. 자바송사리 초기 발생 단계의 심장 발달이 PAHs 혼합물 노출에 민감하였으며, 향후 심장 기형 분야 연구에서 PAHs의 독성 오염이나 유류 오염을 나타내는 바이오 마커(biomarker)가 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1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AHs,marine medaka,model fish,development toxicity,early life stage,risk assessment,다핵방향족탄화수소,자바송사리,모델 어류,디히드로에보다이아민,초기발생단계,위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