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cPouV and cNanog Down-regulation on Pluripotency of Chicken Embryonic Stem Cel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ISSN 1674-796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Zhi-sheng,PENG, Te,CHEN, Sheng-feng,LI, Dong-sheng,JI, Hui-qin,WANG, Bing-yun,CHEN, Jin-d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안정적인 간섭 벡터 pSuper-cNanog과 pSuper-cPouV가 주입된 닭(Callus gallus)의 배아 줄기세포(chicken embryonic stem cells, cESCs)를 이용하여, 다능성(pluripotent) 관련 유전자 cNanog과 cPOMV의 하향조절에 의한 cESCs의 증식 특성과 다능성 마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시간 PCR 검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cNanog과 cPouV 등 두 유전자의 발현량은 48시간부터 뚜렷한 감소 추세를 나타냈는데, 형질주입 및 선별 시간이 연장될수록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냈으며, 96시간에 65%이상에 달하였다(P cNanog과 cPouV 유전자의 발현이 하향조절되었을 때, cESCs는 분화 형태를 나타냈으며, 세포 증식 속도가 느려지고 융기가 불분명해지며 가장자리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선별 후 96시간 배양하였을 때, cNanog 유전자를 간섭하는 세포의 다능성 마커 알칼리성 인산가수 분해효소(alkline phosphatase, AKP)와 발생단계 특이적 태아성 항원 1(stage-specifice mbryonic antigen-1,SSEA-1)는 모두 발현되지 않았으나, cPouV 유전자를 간섭하는 세포에서는 여전히 일부가 발현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cPouV 유전자가 하향조절된 cESCs에 pSuper-cNanog을 주입한 후,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다능성 마커인 AKP와 SSEA-1은 모두 발현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cNanog과 cPouV 유전자는 닭 배아 줄기세포의 다능성과 자기 재생을 유지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cNanog 유전자가 우위를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가금류(poultry)의 배아 발육에 관한 분자 메커니즘 및 체외에서 가금류의 배아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과정 중의 자가 갱신과 다능성 유지에 관한 분자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76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hicken embryonic stem cells,cNanog,cPouV,Pluripotency,RNA interference,닭 배아 줄기세포,eNanog,ePouV,다능성,RNA 간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