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조직 절편(histological sections)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기술로 Siberian gudgeon의 난자 발생 과정 및 성숙난의 난막 표면 구조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Siberian gudgeon의 난자 발생 과정은 Ⅰ~Ⅵ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Ⅰ단계는 난모세포(oocytes)가 난원세포(oogonium)로 발육하는 단계이고, Ⅱ단계에 난모세포 외층에 여포 세포(follicle cell)가 형성되었으며, 피질 액포(vacuole)와 난황(yolk) 입자는 Ⅲ, Ⅳ단계에 형성되었다. Ⅴ단계에 난모세포는 성숙한 난자로 발육하였고, 풍부한 난황과 적은 양의 피질 액포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Ⅵ단계에 난모세포는 퇴화되고, 난소에 흡수되었다. Siberian gudgeon 성숙난 표면의 난문(micropyle)은 깔때기 모양이고, 난문 부위는 침강형 혼합 구조였으며, 성숙난의 난막 표면에는 높이가18.3~30.6μm, 평균 분포 밀도가 0.15개/μm 2 인 특수한 주상체(cylinder) 구조가 있었다. 해당 종류 혹은 생태 유형 물고기의 난막 구조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점성이 있는 알을 산란하는 어류 수정란의 부화, 배아 발육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일으킬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