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cipation of Central lt;TEX gt;$P2X_7$ lt;/TEX gt; Receptors in CFA-induced Inflammatory Pain in the Orofacial Area of Rat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Oral Biology and the UCLA Dental Research Institute |
ISSN | 1226-7155, |
ISBN |
저자(한글) | Yang, Kui-Ye,Kim, Myung-Dong,Ju, Jin-Sook,Kim, Min-Ji,Ahn, Dong-Kuk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요약하면, CFA를 안면영역 피하로 주입하여 발생한 염증성 통증 행위반응은 P2X 수용체의 억제제의 투여로 감소할 수 있었다. 특히 $P2X_7$ 수용체 억제제를 투여하면 진통작용 뿐 아니라 활성화된 신경아교세포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P2X_7$ 수용체가 신경아교세포에 영향을 미쳐 안면에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통증의 발생과 유지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중추신경계의 신경아교세포를 조절할 수 있는 중추성 $P2X_7$ 수용체 작용기전은 임상에서 만성 염증성 통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1324173527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2X receptor,CFA,inflammation,thermal hyperalgesia,gl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