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ess in sodium channelopathies and biological functions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 blocker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
ISSN | 1000-3061, |
ISBN |
저자(한글) | WANG, Hong-yan,GOU, Meng,XIAO, Rong,LI, Qing-we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전압 의존성 나트륨 채널(Voltage-gated sodium channel, VGSC)은 흥분성 세포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를 확대 및 전달하는 주요 매개체이며 신경세포 및 심근세포의 흥분 전달 등 면에서 중요한 작용을 발휘한다. 나트륨 채널 구조와 기능의 이상은 흔히 세포의 흥분성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질병의 발생을 유발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신경성 통증, 간질, 부정맥 등을 유발하게 된다. 현재 임상에서는 주로 나트륨 채널 억제제로 상술한 질병을 치료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연구자들은 계속하여 동물의 독액에서 나트륨 채널 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신경 독소를 분리 정제하고 있다. 상술한 신경 독소는 대부분 화합물 혹은 소분자 폴리펩티드이다. 현재 제약개발회사에서 천연 독소를 방향 설계하여 나트륨 채널 타켓향 약품으로 개조하였으며 임상 질병 치료에 사용하였다. 이 밖에 칠성장어(Lampetra japonica) 구강선(Oral gland) 내 시스테인 풍부 분비 단백질(Cysteine-rich buccal gland protein, CRBGP)도 해마 신경세포(Hippocampal neurons)와 후근신경절 신경세포(Dorsal root ganglion neurons)의 나트륨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증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나트륨 채널병 및 해당 억제제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최신 연구 진척을 분석하여 종합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78832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voltage-gated sodium channel,sodium channelopathies,voltage-gated sodium channel blockers,neurotoxins,cysteine-rich secretory proteins,lampreys,전압 의존성 나트륨 채널,나트륨 채널병,나트륨 채널 억제제,신경독소,시스테인 풍부 분비 단백질,칠성장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