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RNAs in microglia polarization and CNS diseases: mechanism and function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理學報 = Acta physiologica Sinica |
ISSN | 0371-0874, |
ISBN |
저자(한글) | FANG, Xue,TAN, Wei-xing,HE, Cheng,CAO, L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미세아교세포(Microglia)는 중추신경계에 정착하는 대식세포이며, 그것에 의해 활성화되고 매개되는 면역 염증 반응은 여러가지 신경계 질환의 병리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2가지 형태와 기능이 뚜렷하게 다른 분극화 유형 M1과 M2에 존재한다. M1형 세포는 주로 살균과 전염증성(proinflammatory) 작용을 하며 M2형 세포는 항염증과 신경 회복 촉진 등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더 많은 정보는 서로 다른 분극화 상태의 미세아교세포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발현 모델이 명확한 차이가 있으며, 마이크로RNA가 미세아교세포의 분극화 과정을 조절할 수 있고 신경질환의 병리학적 진전에 한층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질환 발병 과정에서 미세아교세포의 분극화 아형 및 microRNA 조절 메커니즘을 충분히 설명하는 것은, 신경계 질환 발병에 참여하는 미세아교세포의 면역 병리학 메커니즘을 깊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신경질환 치료의 더 효과적인 새로운 표적을 구하는데 이론적 정보를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6222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microRNA,microglia,polarization,CNS disease,마이크로RNA,미세아교세포,분극화,신경계 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