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PENG, Bo,BU, Chun-ya,SHI, Guang-lu,LI, Jin-ling,FENG, Xiao-jiao,HAN, Jing-yu,GAO, Pin,WANG, You-nian |
초록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는 신경 신호 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며, 카바메이트(carbamate)와 유기인 농약의 주요 작용 타겟이다. 점박이응애붙이(Tetranychus cinnabarinus) AChE에 대해 체외 발현과 정화를 진행하였으며 그 활성을 분석하였다. 점박이응애붙이 ace 유전자 서열을 원핵 고효율 발현벡터 pET-30a 중에 삽입하여 발현 벡터 pET-30a/ace를 구축하였으며, 발현 균주 Escherichia coli BL21(DE3) 중에 전환하여 IPTG 유도에 의한 고효율 발현을 진행하였다. 니켈 컬럼 정화 목적 단백질은 SDS-PAGE와 Western Blot를 거쳐 목적 단백질로 감정하였다. 정화한 진드기 AChE를 항원으로 하여 진드기 AChE에 저항하는 특이성 항체를 제조하였다. 개선된 Ellman법으로 진드기 AChE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상대분자량(M r )이 약 68×10 3 인 비교적 높은 순도의 진드기 AChE 단백질을 얻었으며, 대부분이 가용성 발현할 수 있고, 효소 활성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이라는 것을 검출하였으며, 10 7 역가의 진드기 AChE에 저항하는 특이성 항체를 제조하였다. 재조합 AChE(IC 50 =5 5.4 mmol/L)로 검출한 에세린(eserine) 억제활성은 진드기 조효소액(crude enzyme solution)(IC 50 =5 58.7 mmol/L) 민감도보다 11배 향상하였다. 본 연구는 진드기 AChE 체외 고효율 발현 벡터를 구축하였으며, 비교적 양호한 활성을 가진 재조합 진드기 AChE를 얻었고 또 AChE 살충제의 체외 고처리 선별과 AChE를 타겟으로 하는 농약 잔류 검출에 기초를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