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뇌신경생물학적 문제로 발생하는 학습 부진 (난독증)검사도구 개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ISSN 1598-48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송홍준,이병관,현상태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는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선행연구 사례를 참조했고, 5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을 받아 측정요인과 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조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뢰도를 확보하기위하여 SPSS 21.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했고, 적합도를 얻기 위해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측정요인 8개와 문항 34개를 확보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신뢰도 통계량(Crombach ${ alpha}$ )은 .922로 매우 높은 값을 얻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절대적 적합지수 GFI=.920, RMR=.057, RMSEA=.062, 증분적 적합지수 CGI=.960, TLI=.977의 결과 값을 얻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등학생 대상 난독증 척도검사 도구는 측정도구로써 적합함을 확인 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352584254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난독증,측정도구,내용타당도,탐색적 요인분석,확인적 요인분석,Dyslexia,Measurement Tool,Content Validity,Exploratory Factor Analysis,Confirmatory Factor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