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cer targeting gene-viro-therapy: An evolving anti-cancer strategy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腫瘤生物治療雜誌 = Chinese journal of cancer biotherapy |
ISSN | 1007-385x,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2001년에 암의 표적 유전자-바이러스 치료(cancer targeting gene-viro-therapy, CTGVT)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즉 하나의 항암 유전자를 암살상 바이러스(oncolytic virus, OV) 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유전자 치료와 OV의 장점을 각각 결합하였다. 또한 OV는 대량으로 복제 가능하여 그중에 삽입된 유전자도 대량으로 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항종양 효과는 커지고 단일 유전자 치료 및 OV 치료보다 효과가 수십에서 수백 배 강하다. 그 뒤로 이중 유전자의 도입 전략(CTGVT-DG, 즉 OV 벡터에 두 개 항암 유전자 삽입)을 제안하였다. 즉 두 개 항암 유전자 사이에 상호 보충 및 동반 상승 효과가 있어 일부 동물 암증상 모델 내에 거의 모든 이식성 종양을 사멸할 수 있다. 최근에는 또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CTGVT-DG 바이러스 입자를 피막하거나 암살상 우두 바이러스(OncoPox)를 벡터로 하여 CTGVT-DG 방안과 상호 결합한다. 후자는 일련의 항암 효과가 있는 이중 유전자 OncoPox-gene1-gene2 산물을 구축할 수 있다. 현재 중국 외에서 대부분 OV-GM-CSF 전략을 이용하고 있어 GM-CSF의 면역 기능에만 제한되어 있으며 유전자 복제의 선량 효과 및 그 중요성을 소홀히 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CTGVT-DG가 서방 국가보다 앞서고 있는 원인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91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cancer,oncolytic viral therapy,gene therapy,gene-virus-therapy,double gene therapy,암,종양살상형 바이러스 요법,유전자 치료,유전자-바이러스 치료,이중 유전자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