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Qing-li,WANG, Xiao-ming,WANG, Ge-jiao,LUO, Chao-xi,TAN, Xin-qiu,LUO, Mei-zhong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목적] 벼 이삭누룩병(Rice false smut)은 벼 이삭누룩병균[Villosiclava virens(Cooke) Tak.]으로부터 초래된 벼에 극심한 피해를 주는 진균병해이다. 벼 이삭누룩병균 UV-2의 큰 조각 DNA 세균인공염색체(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BAC)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발병 관련유전자의 감정 및 지도기반 클로닝, 유전체학 비교 등의 분야에 대한 연구 기초를 마련하였다. [기법] young mycelia를 재료로 하고 대분자 유전체 DNA 내장형 블록을 제조하였으며, HindIII으로 일부를 효소분해한 후 펄스장겔전기영동(pulsed-field gelelectrophoresis)법으로 선별하여 큰 조각 DNA를 회수하였으며 또 pIndigoBAC536-S 벡터와 연결시켰다. 연결된 산물을 대장간균 균주 DH10B T1 Phage-Resistant 세포로 변환시킨 후 white-blue plaque 선별을 진행하였으며, 백색균락을 384공판(pore plate)에 넣어 minus;80°C의 저온에서 보존하였다. [결과] UV-2 균주의 고품질, 고피복도의 BAC 라이브러리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으며, 해당 라이브러리는 총 10,368개 클론을 함유하였고 평균 삽입조각은 124.4kb이며, 무부하(no-load)율은 1%보다 작았고 해당 균 유전체의 약 36.8배를 덮었다. [결론] 진균 대분자 유전체 DNA 제조에서 조절하기 어려운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였으며, 최초의 벼 이삭누룩병균의 BAC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해당 라이브러리는 일종의 공공유전체 자원으로써 연구자에게 (http://GResource.hzau.edu.cn)을 개방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363753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