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ulti-channel in vivo recording techniques: Analysis of phase coupling between spikes and rhythmic oscillations of local field potentia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理學報 = Acta physiologica Sinica
ISSN 0371-08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Ce-qun,CHEN, Qiang,ZHANG, Lu,XU, Jia-min,LIN, Long-n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뉴런 방전(neuron discharge) 서열과 리듬성(rhythmic) 영역 전위(field potential)의 위상 분석 방법을 소개하였다. 다채널 생체 내 기록 기술은 동시에 군체 뉴런과 국소장 전위(local field potentials, LFPs)의 활동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뉴런의 방전 활동은 일반적으로 방전 시간 서열로 나타나고 국소장 전위 신호 가운데 빈도 성분이 서로 다른 주기성 리듬 진동을 포함한다. 위상 분석은 주로 뉴런 방전 시각과 주기성 리등장 전위 위상의 상호 관계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석할 경우,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을 이용하여 어느 주파수 대역 리듬장 전위 신호의 순시간 위상치를 계산하여 얻은 다음, 어느 뉴런 방전 서열 중 각 동작 전위의 해당 리듬장 전위에 대응된 방전 위상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방전 위상의 분포 특성을 고찰하여 해당 뉴런과 리듬장 전위 위상의 방전 위상 관계를 판단한다. 통계 검사 결과를 통하여 뉴런 방전 서열이 어느 리듬장 전위에 대한 위상 분포가 무작위적인 것으로 나타날 경우, 해당 뉴런이 이런 리듬장 전위에 대해 방전 고정 위상 관계가 있는 것을 제시한다. Theta 위상 세차(phase precession)는 특별한 뉴런 방전과 주기성 리듬장 전위의 위상 관계이고 해마 위치 세포(hippocampal place cell) 방전의 기본적 특성이다. 해마 위치 세포는 영역(place field) 내 theta 리듬 클러스터(cluster) 방전 패턴으로 나타나지만, 위상 세차라는 각 theta 파내 방전의 theta 위상이 지난 theta파보다 점차 앞당겨지는 것을 가리킨다. 해당 현상은 위치 세포 방전의 theta 위상과 동물 실시간 위치에 선형 모델을 적용하여 서술할 수 있다. 그리고 원주 선형 관련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관련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로써 영역에서 위치 세포의 방전이 theta에 비한 세차 상황을 연구한다. 위상 분석은 뉴런 방번과 리듬성 영역 전위 신호의 시간 정보 코딩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039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ulti-channel in vivo recording,phase locking,place cell,phase precession,다채널 생체 내 기록,방전 고정 위상,위치 세포,위상 세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