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train converting levoglucosan to carotenoi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ISSN 0001-620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O, Yi-xuan,CHEN, Yu-ru,SUN, Huan,LIU, Jun-li,WEI, Min,XIA, Wen-j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레보글루코산(levoglucosan)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균주 1주를 선별한다. 해당 균주는 레보글루코산을 탄소원으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를 생성하여 바이오매스에 대한 효과적인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방법】셀룰로오스(cellulose) 바이오매스의 열분해 산물 내 레보글루코산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여 진균 ZS1 균주를 선별해냈다. rDNAITS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여 진화나무(evolutionary tree)를 구축하였으며, 균락(bacterial colony)의 형태 특성을 결합하여 균주의 계통발생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해당 균주의 레보글루코산 이용 능력을 분석하였으며, 분광 광도법(spectrophotometry)을 이용하여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실험 결과, 선별해낸 진균 ZS1은 레보글루코산에 대해 아주 좋은 동화(assimilate) 능력을 갖고 있었다. 4일 동안 배양한 후 레보글루코산 이용률은 67.0%였다. ITS 서열 분석과 균락 형태 특성에 대한 감정을 통하여 해당 균주가 Rhodosporidium kratochvilovae(CGMCC No:6365)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양 조건을 최적화 한 후, 레보글루코산 이용률은 5일 내에 98.7%에 달하였으며, 균체 중의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427.1μg/g(건조중량)이었다. 레보글루코산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얻은 카로티노이드량은 460.4μg/g(레보글루코산)이었다. 【결론】선별해낸 Rhodosporidium Kantochvilovae은 레보글루코산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카로티노이드를 생성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2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evoglucosan,biomass pyrolysis,Rhodosporidium kratochvilovae,carotenoids,레보글루코산,바이오매스 열 분해액,Rhodosporidium kratochvilovae,카로티노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