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ess in mitochondrial genome diversity and phylogeny of Psocode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昆蟲學報 = Acta entomologica Sinica |
ISSN | 0454-6296, |
ISBN |
저자(한글) | WEI, Dan-dan,SHAO, Ren-fu,CHEN, Shi-chun,WANG, Jin-ju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다듬이 상목(superorder Psocodea)은 다듬이벌레목(Psocoptera)[나무껍질좀(bark lice)과 책좀(book lice)]과 이목(Phthiraptera)[무는 이(Chewing lice)와 흡혈이(sucking lice)]을 포함하고 있으며, 농업과 의학 등 분야에서 중요한 경제적 의미와 연구적 가치를 가진 개체군이고, 현재 이미 식별되고 묘사된 종은 10,000개를 초과하였다. 다듬이 상목 곤충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mitochondrial genome)의 변이성은 곤충 각 개체군에서 가장 극렬하였으며, 이러한 변이는 유전체의 구조, 유전자 배열, 유전자 함량과 사슬 분포(Chain distribution) 등 여러 분야를 포함하였다. 본 논문은 다듬이 상목 곤충의 크래킹(cracking)된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진화 속성을 전면적으로 분석하고 종합하였으며, 또 양측 대칭 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크래킹 특성을 결합하여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체 원형 크래킹 과정을 재구축하였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핵형'의 개념을 도입하여 동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풍부한 변이 정도를 묘사하였다. 동물 미토콘드리아 염색체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크래킹은 이러한 추세의 중요한 전략을 구현하였다. 동시에 또 현재 논의 중인 다듬이 상목의 주요한 개체군 사이 계통 발생 관계를 종합 및 탐구하였다. 해당 서술은 다듬이 상목 곤충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학, 다듬이 상목 계통 발생 관계 및 양측 대칭 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진화 패턴의 연구에 하나의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31350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socoptera,Phthiraptera,book lice,mitochondrial genome,gene rearrangement,multipartite genome,phylogeny,다듬이벌레목,이목,책좀,미토콘드리아 유전체,유전자 재배열,크래킹 유전체,계통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