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Hui,ZUO, Qin-yue,LUO, Ke,MO, Bang-hui,ZHANG, Guo-lin,WEN, Xing-che,YANG, Qiong,YU, Mao-qun,WANG, Song-hu,CHEN, Bin,CHEN, Li,CHEN, Ming-cai,TU, Sheng-bin |
초록 |
현재 중국의 식량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식량 생산량 증가 속도는 주춤한 상황이어서 식량안보가 문제로 대두되었다. 작물의 신품종 육종에서 큰 기술적인 확보를 갖고, 식량의 단위 생산량 및 총 생산량을 큰 폭으로 안정적으로 높이며, 중국 식량안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핵심은 육종 신기술 및 새로운 방법을 혁신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농업 연구 이론, 방법과 결합한 다학문 종합적 '다각농업(transagricultural)' 연구 모델 탐구는 식량안보 문제 해결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연구 모델을 제공한다. '다각농업'은 현대 농업 개념을 확장하고 발전시킨 것으로서 글로벌 기후 변화, 자원 부족, 식량안보 등 중대한 농업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의 정치, 경제, 과학기술, 농업 등 다양한 학과 분야의 우세한 자원을 통합하고 학과, 분야, 산업 간의 공동 연구 및 통합 혁신을 도모한다. 따라서 중대한 농업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 모델이고 해결방안이다. 현재 벼 육종 이론, 유전체학, 피노믹스(Phenomics), 영상 식별 및 처리 기술, 자동화 기술, 정보 기술의 신속한 발전은 '다각농업' 연구 모델에 필요한 조건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은 '다각농업'의 맥락에서, 프로젝트팀의 '종자 유전형질 분석기 및 벼 SSR 지문지도 클라우드 컴퓨팅 단말장치' 공동 개발 사업과 결합하여 벼 지능 육종 로봇 개발의 배경, 요건, 기술 조건, 실행가능성, 개발 방안, 응용 전망 등을 분석, 논의, 전망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