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ONG, Shan,SONG, Jin,ZHANG, Hui-juan,LI, Yan,BAI, Li-heng,CAO, Gui-fang |
초록 |
인간 양막 중간엽 줄기세포(human amniotic mesenchymal stem cells, hAMSCs)는 성체 줄기세포에 속하며, 광범위한 래원, 낮은 면역원성, 신속한 증폭 등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MSCs의 체외 분리 배양기법을 구축하고자, 해당 세포의 3배엽층으로의 분화 잠재능을 연구하였다. 무균 조건에서, 인간 양막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 절단하고, 2차례의 트립신(trypsin) 소화를 거쳐 상피세포를 제거한 후, Ⅰ형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소화를 이용하여 hAMSCs를 분리하였다. 세포 형태, 생장 법칙, 염색체 분열중기를 관찰하였다. 다이아미노벤지딘 염색(diaminobenzidine staining, DAB), 면역형광, 유동세포 계수법, 3배엽층 분화의 방향성 유도와 RT-PCR 검출 등 기법을 통하여 감정하였다. 연구 결과, 인간 양막에서 순도가 높은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였으며, 면역세포화학 비멘틴(vimentin) DAB 염색 결과, 양성을 나타냈다. 면역형광을 통하여 검출한 결과, 표면에 표기된 비멘틴과 시기특이적 태아성 항원4(stage specific embryonic antigens, SSEA-4)는 모두 양성을 나타냈다. hAMSCs는 CD29, CD49d, CD73 표면의 항원을 발현시킬 수 있었으나, CD34, CD45, HLA-DR은 발현시킬 수 없었다. RT-PCR을 통하여 검출한 결과, 줄기세포 특이 유전자 POU5f1 전사인자4(octamer-binding transcription factor-4, OCT4), 성결정 유전자 관련 전사인자2[SRY-related high-monility-group(HMG)-box protein-2, SOX2]와 NANOG는 모두 mRNA수준에서 발현하였다. 면역세포화학 및 RT-PCR 검출 결과, 체외 특정된 조건에서, 지방형성 세포, 골형성 세포, 신경 세포와 인슐린 유사세포로의 분화를 성공적으로 유도하였다. 결과적으로 hAMSCs는 체외에서 분리, 배양될 수 있었으며 안정적인 유전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3배엽측으로의 분화 잠재능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는 조직공학과 재생의학의 임상 응용을 위하여 실험 기초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