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 cytological study on apple fruits infected by Botryosphaeria dothid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菌物學報 = Mycosystema
ISSN 1672-64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AN, Qing-mei,WANG, Jing-qun,LIN, Yue-li,GAO, Xiao-ning,KANG, Zhen-sheng,HUANG, Li-l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광학 현미경(light microscopy)과 전자 현미경 기술(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병원균인 Botryosphaeria dothidea(Bd)가 성숙한 과실에서의 감염 및 확산 과정과 그 세포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관찰한 결과, 접종한 3시간 후 피공(rind pore) 주변에 있는 분생자는 발아하기 시작하였으며 발아 후 포자는 한쪽 혹은 양쪽에서 발아관을 형성하여 피공 세포에 직접 진입하였으며 접종한 지 9시간 만에 완전히 침입하였다. 30일 후, 과실 표면의 접종 부위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45일 후에 자실체(fruiting body)를 생산하였다. 접종 부위의 샘플을 채취하여 광학 현미경과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병원균 균사는 주로 숙주 세포벽, 세포 내, 세포 사이의 간극 및 세포와 세포막 사이에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균사는 사상체(filamentous)였고 가지가 갈라져 있으며 각막을 가지고 있었다. 또 균사 세포 내에는 세포핵, 미토콘드리아, 액포 등 세포 기관이 존재하였으며; 균사는 전자 밀도가 비교적 높은 과립성 물질을 방출하였는데 이 물질은 균사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분포를 보였다. 병원균이 과육세포에서의 생장 및 확산 과정에 과육세포에는 일련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과육세포벽은 팽창하고 변형되었으며 세포 사이층(intercellular layer)이 분리되고 파열되었다. 균사와 접촉하거나 인접한 과육세포벽의 전기적인 밀도(electro-dense)는 감소하였으며 산발적인 세포벽 섬유 속상체(synnema)로 분해되었다. 또 과육세포의 액포는 파열되고 세포벽은 분리되었으며 세포질은 응결 및 괴사되어 세포벽 주변에 침적되거나 손상된 세포벽 사이를 거쳐 다른 세포로 전이되었다. 후기에 균사는 표피 아래에 밀집되어 분생 포자 기관으로 생장, 발육하였다. 이때 분생 포자 기관에서 내벽 세포는 밀접하게 배열되었으며 세포는 여러 개의 사상체가 평행으로 배열되면서 형성한 세포 기관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 세포 기관의 형태는 다양하고 주변에는 항상 풍부한 지방립이 분포되어 있었는데 이는 영양물질의 운송 및 축적과 연관될 가능성이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83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otryosphaeria dothidea,ultrastructure,infection process,사과 겹무늬썩음병 병원균,초미세구조,감염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