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Exogenous IAA o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System in Cucumis sativus Seedlings under NaHCO3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生理學報 = Plant physiology journal
ISSN 2095-110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MIAO, Li,GONG, Biao,NIE, Wen-jing,WANG, Xiu-feng,WEI, Min,LI, Yan,YANG, Feng-juan,SHI, Qing-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오이 '진옌(Jinyan)No.4' 유묘를 실험 재료로 하고 Hoagland 배양액 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0, 0.01, 0.1, 1와 10 μmol·L -1 ) IAA 처리가 50 mmol·L -1 의 NaHCO 3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오이 유묘의 광합성 특성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알칼리 스트레스는 오이 유묘의 생장에 억제 작용이 있으며 0.01 -1 μmol·L -1 의 외인성 IAA로 처리하였을 때 오이 유묘의 바이오매스를 명확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잎사귀 내 Na + 의 축적을 줄이고 K + 의 축적을 증가하고 IAA의 완충 효과는 농도 효응 관계를 갖고 있다. 엽록소a, 엽록소b와 카르티노이드(Carotenoids) 함량이 높아지고 순광합성속도(P n )와 기공 전도도(G s )가 높아졌으며 1 μmol·L -1 IAA로 처리하였을 때 효과가 가장 좋았다. 1 μmol·L -1 의 외인성 IAA를 첨가하는 것은 알칼리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오이 잎사귀 내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POD), 아스코베이트 퍼옥시데이스(ascorbate peroxidase, APX), 탈수소아스코르빈산염 환원효소(dehydroascorbate reductase, DHAR)와 글루타티온 환원효소(glutathione reductase, GR)의 활성 및 환원형 아스코르브산염(ascorbate, AsA)과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의 함량을 명확히 높였으며 알칼리 스트레스로 유도한 활성 산소의 축적과 막지질 과산화 반응을 줄였다. 그러나 10 μmol·L -1 의 외인성 IAA로 처리하는 것은 알칼리 스트레스가 오이 유묘에 대한 피해를 더욱 심화시킨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2230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ucumis sativus,alkali stress,IAA,photosynthesis,antioxidant enzyme,오이,알칼리 스트레스,IAA,광합성 작용,항산화 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