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Ping-yan,GAO, Rong-guang,YANG, Feng-juan,WANG, Xiu-feng,WEI, Min,SHI, Qing-hua,LI, Yan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진옌4호(Jinyan NO.4)' 오이 품종을 실험 재료로 잎사기 표면에 다양한 농도의 규소(Si)(0, 1, 2, 3, 4, 5 mmol·L -1 )를 뿌리는 것이 연작 오이 유묘의 생장, 광합성 특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일정한 농도(1~3 mmol·L -1 Si) 범위 내에서 Si는 유묘 잎사귀에 전해질 누출 속도(electrolyte leakage, EL)와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MDA) 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엽록소a(Chl a), 엽록소b(Chl b),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Car)와 총 엽록소 함량을 높이고 잎사귀 순광합성율(Leaf net photosynthetic rate)(P n )을 높였다.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POD), Ascorbate peroxidase(APX)와 카탈라아제(catalase, CAT) 활성이 높아지고 오이 유묘 높이, 줄기 굵기, 엽면적 및 건조 물질 축적량이 증가하였다. Si 사용 농도가 증가할수록(4~5 mmol·L -1 ) 잎사귀 내 EL과 MDA 함량이 높아지지만 여전히 대조그룹에 비해 낮다. 항산화효소 활성과 광합성 작용이 낮아지고 유묘의 생장이 명확히 억제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외인성 Si는 오이 유묘 잎사귀 내 항산화효소 활성을 높이는것을 통하여 세포막 지질 과산화(Membrane lipid peroxidation)를 줄일 수 있으며 광합성 작용을 증가하여 오이 유묘의 성장 추세를 증가하고 더 나아가 연작 장애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 2 mmol·L -1 Si로 처리하는 것이 최적의 규소농도로 효과가 가장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