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CaCl2 concentration on physiology of Brazil banana seedling under NaCl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OU, Shuang-yun,JIANG, Jing,GAO, Long-yan,WANG, Ling-xia,LI, Shao-peng,LI, Xin-gu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바나나의 염 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있어 외인성 칼슘(Ca)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수경 재배 실험(hydroponic experiment)법을 사용하여 60mmol L -1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서로 다른 농도의 CaCl 2 가 중국의 주재배 품종인 브라질 바나나(Musa AAA Cavendish var. Brazil) 잎의 상대수분함량(relative water content, RWC), 엽록소 함량 등 생리적 응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염 스트레스 조건에서 브라질 바나나 묘목 잎의 Chl a, Chl b, Chl 함량은 뚜렷이 낮아졌고 Chl a/Chl b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잎의 RWC는 뚜렷이 하강하였고 잎/근계의 막투과성 및 프롤린 함량은 뚜렷이 증가하였다. 저농도 외인성 칼슘을 첨가할 경우 이러한 현상은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 그러나 고농도(20mmol L -1 ) 외인성 칼슘은 오히려 염 피해를 가중화 하였다. 효과가 가장 좋은 CaCl 2 처리 농도는 5mmol L -1 였다. 실험하는 동안에 5, 10mmol L -1 CaCl 2 로 처리한 잎의 RWC는 염 스트레스 때에 비해 뚜렷이 높았고 대조군과의 차이는 선명하지 않았다. 실험 5일(d5)이 되는 날 5, 10, 20mmol L -1 CaCl 2 로 처리한 잎의 프롤린 함량은 염 스트레스 때에 비해 각각 85.4%, 75.3%, 86.6% 높았고 그 차이는 뚜렷하였다. 처리 10일이 되는 날 5mmol L -1 CaCl 2 의 근계/잎 프롤린 함량은 가장 높았고 염 스트레스 때와의 차이는 유의수준에 도달하였다. 이 외에, 염 스트레스에서 5mmol L -1 CaCl 2 처리는 잎/근계의 막투과성을 낮추었고 외인성 CaCl 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잎/근계 막투과성은 높아졌다. 실험하는 동안에 20mmol L -1 CaCl 2 로 처리한 잎/근계 막투과성은 염 스트레스 때에 비하여 계속 높았다. 각 측정 지표에 대한 종합 및 분석을 통해 적정 농도 CaCl 2 처리는 브라질 바나나에 미치는 염 스트레스의 영향을 일정 정도 완화하며 보다 적합한 CaCl 2 농도는 5mmol L -1 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894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razil banana seedling,NaCl salt stress,exogenous CaCl lt,sub gt,2 lt,/sub gt,. physiological properties,브라질 바나나,NaCl 스트레스,외인성 CaCl lt,sub gt,2 lt,/sub gt,. 생리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