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orrelation between soil nutrient availability and bacteria community succession in poplar planta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Tan,WANG, Hua-tian,WANG, Yan-ping,HAN, Ya-fei,JIANG, Yue-zhong,ZHU, Wan-r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연작 인공림의 퇴화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해 이온 교환 수지막(Ion Exchange Resin Membranes, IERMs) 매립 및 PCR-DGGE 기술을 사용하여 포플러 인공림 토양 양분 풀 및 플럭스(pool and flux) 특성, 토양 세균 군집 구조의 세대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작 세대 수가 증가함에 따라 포플러 인공림 토양 양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였다. 근권(rhizosphere) 및 비근권 토양의 유효 질소 및 칼륨 함량은 세대별로 뚜렷하게 하강하였다(P 양분 이온 플럭스는 비근권 토양에서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근권 토양에서 NH 4 + 및 K + 의 단위시간 내 추출량은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NO 3 - 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P 토양 세균 군집 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근권 토양 세균 풍부도 및 Shannon-wiener 다양성은 비근권 토양에 비해 뚜렷이 낮지만 암모니아 세균, 호기성 질소고정 세균, 섬유소 분해균의 총 수량은 비근권 토양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암모니아 세균 수량은 세대별로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아질산 세균 및 호기성 질소고정 세균은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결과 포플러 인공림 토양 양분 유효도의 변화는 세균 군집 천이과 매우 뚜렷한 상관성이 있었다(P 종합한 결과, 세균 군집의 천이는 토양 질화작용 및 질소 유효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전인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6894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oplar plantation,soil nutrient pool and flux,soil nutrient availability,soil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연작 포플러 인공림,토양 양분 풀 및 플럭스,양분 유효도,세균 군집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