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earch on the antibacterial mechanism of tea polyphenols on Escherichia coli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學雜志 = Journal of Biology
ISSN 2095-173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ONG, Lu,DAI, Zeng-ying,HAN, Qing,LI, Ying-qi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차 폴리페놀(tea polyphenols, TP)은 광역적인 항균 작용이 있는 활성물질이다. 대장균(Escherichia coli, E.coli)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옥스포드컵 실험법(Oxford cup experiment)을 사용하여 차 폴리페놀의 최소 항균 농도를 연구하였다. 또한 크리스털 바이올렛(crystal violet) 실험, 전기전도율 측정, 이온 누출(ion leakage) 측정을 통해 차 폴리페놀이 대장균 세포막 투과성(cell membrane perme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법(Agarose gel electrophoresis)을 사용하여 차 폴리페놀이 대장균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차 폴리페놀이 대장균에 대한 최소 항균 농도는 40 μg/mL였다. 크리스털 바이올렛 실험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OD 590 도 증가하였고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전기전도율도 높아졌고 이온 누출도 따라서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차 폴리페놀은 대장균의 세포막에 작용하며 막투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가로오스 겔 전기영동 분석 결과, 공백 대조 그룹에 비해 차 폴리페놀 처리 후, DNA 밴드는 어두워졌고 꼬리를 끄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차 폴리페놀은 대장균의 유전물질 DNA에 작용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0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ea polyphenols,antibacterial activity,antibacterial mechanism,Escherichia coli,차 폴리페놀,항균 활성,항균 메커니즘,대장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