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Killing Effects of Thioridazine on Liver Cancer Stem Cel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工程雜誌 = Journal of Chinese biotechnology
ISSN 1671-813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MENG, Shu-lin,MA, Bu-yun,ZHANG, Xin-min,GE, Yun,ZHANG, Rong,HUANG, Pan-pan,WANG, Yi-g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치오리다진(thioridazine, THO)은 임상에서 흔히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최근 몇 년간 THO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그의 종양 세포에 대한 살상 효과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간암 세포에 대한 살상 효과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종양 줄기세포는 종양의 전이, 재발과 약물 내성 등 방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체외 현탁배양을 이용하여 종양 줄기세포를 농축시키고 THO 약물이 이 줄기세포에 미치는 살상 효과를 검사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THO의 종양 생장에 대한 체외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체외에서 현탁 배양한 간암 세포가 간암 줄기세포 관련 인자의 발현, 약물 내성과 세포 주기 등 방면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THO가 일정한 수준에서 종양 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그의 인산화 STAT3, NANOG와 XIAP 발현이 뚜렷하게 상향 조절되고 Albumin의 발현이 하향 조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TT, Western blotting와 유세포분석법으로 검사한 결과, THO는 간암 줄기세포에 대해 강한 살상 효과를 나타냈으며, caspase 의존성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분화된 간암 세포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밖에 THO를 화학요법 약물인 염산 독소루비신(doxorubicin hydrochloride, DOX)과 결부하여 사용했을 때 간암 줄기세포와 분화된 간암세포에 대한 THO의 살상 효과가 크게 강화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당 결과는 최초로 THO가 간암 줄기세포에 대해 비교적 강한 살상 능력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는 간암의 미래 임상 치료에 새로운 희망을 주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9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HO,Liver cancer stem cells,Phosphorylated STAT3,Caspase,Apoptosis,THO,간암 줄기세포,인산화 STAT3,caspase,사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