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igment cells development and body color variation of postembryonic development in Amphilophus citrinellus(G?nther 1864)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EI, Min-xia,SONG, Hong-mei,QI, Bao-lun,LIU, Chao,LUO, Jian-ren,HU, Yin-ch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생물현미경 및 입체현미경 등을 통하여 Amphilophus citrinellus(Amphilophus citrinellus G?nther 1864)의 초기 발달 과정에 따르는 체색 및 색소 세포의 분포 및 형태학적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수온이 (27±1)℃이고 pH가 8.3인 조건에서 자어기 동안, 새로 부화한 자어의 체표면에는 흑색소가 존재하였으며 부화 2일째(day post hatching, dph)에는 흑색소가 증가하고 안와가 검어지며 시각적 기능이 없었다. 3dph에는 난황낭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았고 흑색소세포가 여러 개의 세포로 분화되면서 형태가 다양하였다. 4dph에는 시각적 기능이 있었으며 자기 스스로 헤염칠 수 있었다. 5dph에는 입을 벌리기 시작했으며 난황낭이 뚜렷하게 작아졌다. 7dph 자어의 체내에서는 홍채세포가 나타났다. 10dph 자어의 체표면에서는 황색소세포가 나타났다. 12dph에는 각 지느러미가 성어 지느러미막으로 대체되었으며 또한 흑색소세포 및 황색소세포가 지속적으로 많아지면서 어류 체표면이 검어졌다. 치어기 동안, 19dph에는 비늘이 생김과 동시에 각 지느러미가 완전히 발달되었으며, 30dph에는 적색소세포가 발견되었다. 유어기 동안, 35dph 유어의 체표면은 검은색이었고 7가닥의 색소대가 초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온몸에는 비늘이 덮여 있었다. 65dph 어류 체표면에서 일부 흑색소가 없어지기 시작하였다. 85dph에는 흑색소세포가 완전히 없어졌고 어류의 체표면은 밝은 황색으로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흑색소가 완전히 퇴색되고 유전이 안정된 Amphilophus citrinellus를 양식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3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mphilophus citrinellus,body color variation,early life history,morphology observation,Amphilophus citrinellus,체색 변화,초기 생활사,형태학적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