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Main Environment Factors on Flowering in Camellia oleifer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熱帶亞熱帶植物學報 = Journal of tropical and subtropical botany |
ISSN | 1005-3395, |
ISBN |
저자(한글) | HU, Yu-ling,YAO, Xiao-hua,REN, Hua-dong,WANG, Kai-liang,CAO, Yong-qi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유차나무(Camellia oleifera) 개화의 핵심 환경 요인(Environmental factor)을 파악하기 위해 '창린 4번'을 재료로 사용하여 유차나무 개화 과정의 관련 생리 및 생화학(Physiology and biochemistry) 지표를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서로 다른 환경 요인의 조건에서 꽃눈 분화기(5월 19일)의 노화잎, 새잎 및 줄기 내 가용성 단백질, 가용성 당과 생장 조절제(생장소, 지베렐린, 세포 분열과 탈락산) 간 함량 차이가 뚜렷했다. 그러나 유차나무의 개화(Flowering) 여부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소로 처리한 유차나무의 싹이 가장 포만하게 발육되었고 그 생장 속도가 비교적 빨랐으며 개화 시간도 가장 빨랐다; 광조사와 생장 조절제로 처리(지베렐린을 제외)한 유차나무는 꽃이 피지 않았다; 열처리 혹은 칼륨으로 처리한 유차나무도 그 개화 말기가 많이 지연되었다; 영양분(질소, 인, 칼륨)으로 처리한 유차나무의 개화율이 비교적 높았고 열처리한 유차나무의 개화율이 두번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호한 물과 비료 및 열처리 조건은 유차나무의 개화에 유리하고 생장소와 세포 분열소는 유차나무의 개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05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Camellia oleifera,Environmental factor,Physiology and biochemistry,Flowering,Flower phase,유차나무,환경 요인,생리 및 생화학,개화,개화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