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U, Yu-ting,JIANG, He,HU, Wang,PAN, Ting-shuang,DUAN, Guo-qing,LING, Jun,CHEN, Xiao-lei |
초록 |
미토콘드리아 세포 색소 b(Cyt b)를 분자 표기로 사용하여, 안후이 창장 유역의 6개 지방(당투, 우웨이, 포창, 구이츠, 화이닝와 왕장)에서 수집한 180마리 드렁허리(Monopterus albus)의 유전 변이 관계를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1,087 bp 서열 가운데 총 101개 변이적 위치, 68개 단상형, 염기 구성 중 A+T의 함량이 G+C 함량보다 크다. 6개 지리적 개체군은 단상형의 다양성(0.623~0.940)이 높으며, 뉴클레오티드의 다양성(0.00178~0.01904)이 낮다. 개체군의 분화 지수(Fst: 0.02612~0.94707), 유전자 흐름(Nm: 0.02794~18.6400)과 분자 변이에 대한 분석(AMOVA) 결과, 안후이 창장 유역에서 각 지방의 드렁허리는 그 유전 분화가 뚜렷했다. 단상형 계통수와 진화형 네트워크그래피의 분석 결과: 6개 지리적 개체군을 2개 큰 진화적 개체군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당투와 포창의 개체군이 하나의 유형이고 기타 4개 개체군이 다른 유형이었다. 지리적 격리와 드렁허리의 제한된 전이 능력은 개체군 유전 변화를 초래하는 원인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