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도토리 추출물의 3T3-L1 세포 분화억제 효과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ISSN 1225-433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지연,이진,이창원,김애정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 mu}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 mu}g/mL$ 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100{ mu}g/mL$ 로 처리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지질축적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200{ mu}g/mL$ 처리농도에서 AE 시료는 82%로, AW 시료는 74%로 감소되다가 $300 { mu}g/mL$ 농도에서는 두 시료 모두 약 53% 수준까지 지질축적이 억제되었다.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AE 시료의 경우 $200{ mu}g/mL$ 농도에서 11%의 감소율, $300{ mu}g/mL$ 농도에서 4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AW 시료도 $200{ mu}g/mL$ 농도에서 5%의 감소율과 $300{ mu}g/mL$ 에서 41%의 감소율을 보였다. 3T3-L1 세포의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200{ mu}g/mL$ 에서 AE는 42%, AW는 33%로 $300{ mu}g/mL$ 에서는 AE는 58%, AW는 52%로 ROS 생성량의 억제를 보였다. 3T3-L1 세포에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두 시료(AE와 AW) 모두 $300{ mu}g/mL$ 농도에서 $PPAR-{ gamma}$ 은 54%와 38%, aP2는 40%와 18% 수준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탈피한 도토리는 3T3-L1 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59474322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corn,Quercus acutissima Carr,antiobesity,3T3-L1 preadipocy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