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유산균이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발현하는 IL-4와 IL-13을 조절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GATA-1, GATA-2, NF-AT1, NF-AT2, NF- #x3BA;B p65 전사인자의 활성을 억제하는지를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T cell에서 CD4+/CD25+/foxp3+ 증가를 실험하여 항아토피 기능성이 있는 유산균을 탐색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증가시키는 유산균의 이중배양법을 확인하였다. 여기서는 RBL-2H3 비만세포를 이용하여 이 배양법으로 배양한 유산균이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allergy 염증반응에서 얼마나 억제능을 갖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Lc. lactis culture with medium containing Lb. plantarum supernatants #x3E; Lc. lactis #x3E; Lc. lactis culture broth with medium containing Lb. plantarum culture broth #x3E; Lb. plantarum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cell 수준(level of mast cells)에서의 순서는 이전 연구의 level of microorganisms (anti-S. aureus)에서의 아토피 유발인자 억제능 순서와 같다. 따라서 세포수준에서도 Lb. plantarum 배양상층액을 첨가한 배지에 Lc. lactis 배양한 경우가 활성화된 비만세포의 allergy 반응으로의 분화 및 활성을 가장 잘 억제하고 관련 유전자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anti-allergy 효과를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