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 of animal models of atrial fibrillation in the study of cellular and molecular therapy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實驗動物學報 = Acta laboratorium animalis scientia sinica |
ISSN | 1005-4847, |
ISBN |
저자(한글) | HUANG, Jia-yuan,WU, Jian,YANG, Feng-hua,CHEN, Ca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부정맥 증상이며 각 기관과 조직에 운반되는 혈액량의 부족을 초래한다. 또한 혈전증, 심부전 혹은 이와 관련된 기타 복잡 증상을 유발한다. 심방 세동 동물 모델은 질병의 증상 또는 유발 요인에 따라 전기생리학적 모델, 신경호르몬과 혈관 생리 장애 모델, 구조 변이 모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microRNA, CRISPR-Cas9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출현은 심방 세동 질병 동물 모델 구축에 새로운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였고 치료 요법 연구의 응용을 유도하는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현재, 심방 세동 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침습적 전기생리 방법과 항부정맥(antiarrhythmic) 약물의 사용으로부터 세포 및 분자 요법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심방 세동 분자 메커니즘, 표적화 치료, 약물 선별 등 측면에서 새롭고 중요한 진전을 가져왔다. 본 논문은 몇 가지 일반적인 심방 세동 동물 모델의 구축, 특성 그리고 세포 및 분자 요법 연구에서의 응용 전망을 종합적으로 서술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17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Atrial fibrillation,Animal disease model,Cellular and molecular therapy,Molecular mechanisms,심방 세동,동물 질병 모델,세포 및 분자 요법,질병 분자 메커니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