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l Processes of Rhizome and Ultrastructure of Secretory Cavities in Zingiber officinale Roscoe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熱帶亞熱帶植物學報 = Journal of tropical and subtropical botany |
ISSN | 1005-3395, |
ISBN |
저자(한글) | MU, Nan,LIU, Huan-fang,KUANG, Yan-feng,ZOU, Pu,LIAO, Jing-pi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근경의 발육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서로 다른 발육 단계에 있는 생강의 미세구조와 초미세구조를 관찰하고 분비강(Secretory cavities)의 발육 과정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어린잎 시기의 생강 표피 내 기본 조직을 대체로 껍질층, 내피 유사층과 중심주(stele)로 나눈다. 2차 비대분열조직(thickening meristem)은 중심주 외측의 일부 세포로부터 기원되었고 그 세포 분열과 체적 증가가 생강의 발육을 촉진한다. 유세포(Parenchyma cell) 내 대량의 전분 입자 수량, 형태와 크기는 발육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르다. 분비강은 생강에 많이 분포되었고, 그의 발육 과정을 3개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분비강 원시세포 집단의 형성, 분비강의 발생과 성숙한 분비강의 형성 등 3개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생강 정유(essential oil)는 주로 미토콘드리아, 색소체와 세포질에서 합성된다. 본 연구는 생강 약용 자원의 개발과 이용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05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Zingiber officinale Roscoe,Developmental anatomy,Secretory cavities,Microstructure,Ultrastructure,생강,발생 해부학,분비강,미세 구조,초미세 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