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olymethoxylated flavonoids activat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hloride channe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理學報 = Acta physiologica Sinica
ISSN 0371-08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AO, Huan-huan,FANG, Fang,YU, Bo,LUAN, Jian,JIANG, Yu,YANG, 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낭포성 섬유증 막횡단 전도 조절 유전자(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가 cAMP 의존적인 Cl - 통로 단백질이고 상피액체 분비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본 연구팀은 초기 작업에서 3',4',5,5',6,7-hexamethoxyflavone(HMF)와 5-히드록시-6,7,3',4'-테트라메톡시프라본(5-hydroxy-6,7,3',4'-tetramethoxyflavone, HTF) 등 2가지 메톡시프라본(methoxyflavone) 화합물이 CFTR Cl - 통로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을 관찰하였지만 해당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분명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형광 소광(fluorescent quenching) 모델 및 단락 전류 기술(short-circuit current technology) 시스템을 이용하여 HMF와 HTF가 CFTR Cl - 통로에 대한 활성화 작용을 연구하였다. 형과 소광 시험 결과, 두 가지 화합물이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CFTR Cl - 통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활성화 작용은 신속하고 가역적인 특성이 있고 CFTR 특이성 억제제 CFTR inh -172에 의해 완전히 억제될 수 있다. 특히, HMF(EC 50 =2 2 μmol/L)는 지금까지 친화력이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CFTR Cl - 통로 활성제이었다. HMF와 HTF가 CFTR Cl - 통로에 대한 활성화 작용은 포스콜린(forskolin, FSK) 의존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FSK와 IBMX(3-Isobutyl-1-methylx)의 작용과 첨가 효과가 존재하였지만, 제니스테인(genistein, GEN)의 작용과 상승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생체 이탈 조직 연구 결과, HMF와 HTF는 큰 쥐의 결장 점막 Cl - 전류와 작은 쥐의 기관지 점막밑샘(submucosal gland) 액체 분비를 뚜렷이 추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HMF와 HTF는 cAMP 수준을 향상시키고 CFTR 단백질과 직접 작용하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하여 CFTR Cl - 통로 활성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플라보노이드 CFTR Cl - 통로 활성제 구조와 기능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밝히는 데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189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FTR,Cl lt,sup gt,- lt,/sup gt,transport,3', 4', 5, 5', 6, 7-hexamethoxyflavone,5-hydroxy-6, 7, 3', 4'-tetramethoxyflavone,activator,낭포성 섬유증 막횡단 전도 조절 유전자,염소수송,3',4',5,5',6,7-hexamethoxyflavone,5-히드록시-6,7,3',4'-테트라메톡시프라본,활성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