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 of sacro/endoplasmic reticulum Ca2+-ATPase from Bombyx mori by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
ISSN | 1000-3061, |
ISBN |
저자(한글) | WANG, Xin,LI, Yi,CHEN, Hui-fang,ZHOU, Xiao-ying,XIE, Kang,ZHAO, Pi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근소포체형 칼슘이온 ATP 효소(Sacro/endoplasmic reticulum Ca 2+ -ATPase, Serca)는 세포의 나머지 Ca 2+ 을 운반하여 소포체에 저장한다. 따라서 세포 내 적합한 Ca 2+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누에 Serca에 의해 만들어진 세포 내 및 세포 외 Ca 2+ 평형은 누에의 정상적인 생명 활동 유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Serca는 그 분자량이 크고 10차례의 막 투과 구조로 되었기 때문에, 대장간균 발현계에서 발현되기 어렵다. 생물학 활성이 있는 재조합 Serca 단백질을 얻기 위해, pFastBac Dual 벡터를 이용하여 egfp와 serca의 발현에 사용하는 2원 바큐로바이러스(baculovirus) 발현 벡터를 구축하여 세포를 형질전환시킨 후 재조합 바이러스를 얻었다. 이 재조합 바이러스로 세포를 감염시킨 후 세포에서 EGFP와 Serca를 발현하였다. 형광 관찰 및 Western blotting 분석 결과, 감염 후 세포에서 Serca와 EGFP의 발현 형식이 일치했으며 감염 48시간 후부터 발현하기 시작했다. 감염 96시간 후 그 발현량이 가장 많았다. 재조합 단백질의 효소 활성(enzyme activity)을 분석한 결과, 감염 후 48시간부터 120시간 사이에 Serca의 효소 활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생물학 활성을 가진 Serca를 해당 시스템에서 성공적으로 발현하였다. 이는 Serca 단백질 기능의 심층 연구에 기반을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14215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ilkworm,baculovirus,gene expression,binary expression system,sacro/endoplasmic reticulum Ca lt,sup gt,2+ lt,/sup gt,-ATPase,enzyme activity,누에,바큐로바이러스,유전자 발현,2원 발현계,근소포체형 칼슘이온 ATP 효소,효소 활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