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황련(Coptidis rhizoma), 오배자(Chinese galls), 피톤치드 혼합물(Phytoncide)이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미치는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ISSN 1225-9918,2287-34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정희,조용권,김병관,곽승준,김종국,이은경,조혜경,김극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 연구된 천연물 중 항균활성이 가장 좋은 황련, 오배자, 피톤치드(Phytoncide)가 단일추출물과 추출혼합물 일 때 M. furfur의 항균활성 차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비듬균에 대한 천연한방추출물의 항균활성결과와 비교하였다. 추출혼합물에서 S. aureus는 3가지 혼합한 천연물질에서 항균활성이 내성하였으며 E. coli는 황련과의 혼합물에서 내성하였고 C. albicans는 오배자와 혼합물에서 내성이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 균주에 따라 항균활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M. furfur는 단일추출물에서 전혀 항균활성이 없었고, 혼합물에서는 황련과 피톤치드 50% 혼합물에서 3.20mm의 직경으로 미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는 같은 진균인 C. albicans와 비교하여 볼 때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그 이유는 M. furfur가 C. albicans에 비하여 세포벽이 지방친화성 성분을 지니고 있고 라멜라층, 원형질내막, 중간 다층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58503685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timicrobial activities,Coptidis rhizoma,Chinese galls,dandruff,Malassezia furfur